오늘은 미분방정식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분방정식을 수학이나 물리 등(심지어 화학에서도)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게 뭔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분방정식이란?
미분방정식이란 도함수를 포함하는 방정식입니다. 어떤 도함수를 포함했든, 몇 차의 도함수를 가지고 있든 간에 관계없이 도함수를 가지고만 있다면 그것이 미분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방정식은 $x^2+2x+3=0$의 형태로 기술되어 $x$를 구해야 하지만, 미분방정식은 $y''+2y'+y=0$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y$라는 함수를 구하는 과정이 바로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미분방정식의 종류
미분방정식은 어떤 종류의 미분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방정식 두 종류로 나뉘게 됩니다.
상미분방정식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미분만이 포함된 방정식으로,
$$ \frac{dy}{dx}+y(x)=5,\;\;\frac{dx}{dt}+\frac{dy}{dt}=3$$
등의 형태가 있습니다. 즉, 일변수 함수의 도함수가 포함된 것입니다.
편미분방정식은 편미분이 포함된 방정식으로, $\partial$(라운드)라는 기호를 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frac{\partial{F(x, y)}}{\partial x}+\frac{\partial{F(x, y)}}{\partial y}=0 $$
등의 형태가 있습니다. 즉, 다변수 함수의 도함수가 포함된 것입니다.
- 미분방정식의 계
계는 미분방정식의 계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계수는 미분방정식에 포함된 도함수 중 제일 많이 미분된 도함수의 차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y''+(\frac{dy}{dx})^2-4y=0 $$
의 형태인 미분방정식은 가장 많이 미분된 도함수가 이차($y''$)이므로 계수가 2입니다.
미분방정식의 해
미분방정식의 해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해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그냥 해라고 주장하는 무언가를 그 함수 자리에 넣었을 때 방정식이 성립하면 그게 해가 맞는거고, 그러한 해가 무엇인지 찾아가는 과정이 '미분방정식을 푸는 것'입니다.
- 미분방정식의 해의 종류
미분방정식의 해는 일반해, 특이해, 특수해, 자명해 총 4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일반해
일반해는 미분방정식의 해가 적분 상수 $C$를 포함하는 경우 일반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미분방정식을 풀었을 때 나오는 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frac{dy}{dx} = x $$
라는 식이 있다고 한다면 어떻게 해를 잘 구해보면 해는
$$ y = \frac{1}{2}x^2+C $$
가 되게 됩니다. 이 해에는 적분상수 $C$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일반해가 됩니다.
2. 특수해
특수해는 일반해에 초기조건이 더해진 경우 특수해라고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앞선 식에 $y(0) = 0$이라는 조건이 있다고 생각해보면, $C$는 당연히 0이 되겠죠. 이 경우 위 미분방정식의 해는 $$ y = \frac{1}{2}x^2 $$가 되고, 이를 특수해라고 합니다. 초기 조건이 있어야 하기에 주로 물리학 등에서 자주 보입니다.
3. 특이해
특이해는 일반해로 표현되지 않는 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 (\frac{dy}{dx})^2-x\frac{dy}{dx}+y=0 $$
이라는 형태의 미분방정식이 있다면 (후에 기술하겠지만) 이를 잘 풀었을 때 $y = cx-c^2$이라는 형태의 해가 나오게 됩니다. 그러나, 이 미분방정식에 $ y = \frac{1}{4}x^2 $이라는 식을 넣어도 해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 \because (\frac{1}{2}x)^2-x(\frac{1}{2}x)+\frac{1}{4}x^2=0 $$
그러나 $ y = \frac{1}{4}x^2 $이라는 식은 $y = cx-c^2$의 형태로 절대 나타낼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때 $ y = \frac{1}{4}x^2 $는 특이해가 되게 됩니다.
4. 자명해
마지막으로 자명해는 누가 봐도 직관적으로 빠르게 알아낼 수 있는 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 \frac{d^2y}{dx^2} - 2\frac{dy}{dx} + y = 0 $$
이라는 형태의 미분방정식이 있다면, 이의 일반해는 바로 찾아낼 수 없지만 $y = 0$이면 식이 성립함은 바로 파악할 수 있죠. 이런 경우에 $y = 0$은 자명해가 되는 것입니다.
미분방정식의 해 구하기
이제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계 미분방정식은 변수분리법을 이용해 쉽게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변수분리법은 좌변과 우변으로 두 변수들을 분리시켜 이를 적분함으로써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g(y)\frac{dy}{dx} = f(x) $$
라는 식이 있다면 이를
$$ g(y)dy = f(x)dx $$
의 형태로 고친 뒤 적분하여
$$ G(y) = F(x) + C $$
의 형태로 만든 뒤 $y$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제 예제를 통해 변수분리법을 적용해보겠습니다.
예제 1) $ (1+x)dy = ydx $
$$ \rightarrow\;\;\frac{1}{y}dy = \frac{1}{1+x}dx\;\;\rightarrow\;\;ln|y| = ln|x+1|+C $$
$$ \therefore\;y = e^{ln|x+1|+C} = \pm e^c\cdot(x+1) $$
예제 2) $\frac{dy}{dx} = y^2-4 $
$$ \rightarrow\;\;\frac{1}{y^2-4}dy = dx\;\;\rightarrow\;\;\frac{1}{4}(\frac{1}{y-2}-\frac{1}{y+2}) = dx $$
$$ \rightarrow\;\;ln|\frac{y-2}{y+2}| = 4x+C\;\;\rightarrow\;\;\frac{y-2}{y+2} = e^{4x+C}$$
$$ y-2 = y\cdot e^{4x+C} -+2e^{4x+C}\;\;\rightarrow\;\;y(1-e^{4x+C}) = 2(1+e^{4x+C}) $$
$$ \therefore\;y = 2\cdot\frac{1-e^{4x+C}}{1+e^{4x+C}} = 2\cdot\frac{1-Ce^{4x}}{1+Ce^{4x}} $$
참고로, 위의 예제 풀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어차피 적분상수 $C$는 어떤 상수이든 될 수 있으므로 해를 끝까지 유도하고 상수 부분은 $C$로 바꿔서 많이들 표현하게 됩니다.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와 넓이 (2) | 2024.07.21 |
---|---|
일계 선형미분방정식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