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을 배우며 직교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와 넓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요. 극좌표계에서는 이를 어떻게 구하는지가 궁금해져 이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극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
먼저, 극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교좌표계에서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l = \int_{a}^{b} \sqrt{(\frac{dx}{dt})^2 + (\frac{dy}{dt})^2} \, dt $$
$$ = \int_{a}^{b} \sqrt{1+(f'(x))^2}dx $$
극좌표계에서도 $ x $와 $ y $ 성분을 구해 위 식에 대입하여 곡선의 길이를 구해볼 것입니다. 극좌표계에서 $ x $,$ y $는 다음과 같습니다.
$$ x = rcos\,\theta,\quad y = rsin\,\theta$$
이를 매개변수 $t$로 나타냈을 때 곡선의 길이 식에 넣으면
$$ \frac{dx}{d\theta} = -rsin\,\theta+\frac{dr}{d\theta}cos\,\theta,\qquad \frac{dy}{d\theta} = rcos\,\theta + \frac{dr}{d\theta} sin\,\theta $$
$$ \rightarrow\;\;(\frac{dx}{d\theta})^2 = (rsin\,\theta)^2-2rcos\,\theta sin\,\theta+(\frac{dr}{d\theta}cos\,\theta)^2 $$
$$ \rightarrow\;\;(\frac{dy}{d\theta})^2 = (rcos\,\theta)^2+2rcos\,\theta sin\,\theta+(\frac{dr}{d\theta}sin\,\theta)^2 $$
$$ \rightarrow\;\; (\frac{dx}{d\theta})^2 + (\frac{dy}{d\theta})^2 = r^2(sin^2\,\theta + cos^2\,\theta) + (\frac{dr}{d\theta})(sin^2\,\theta + cos^2\,\theta) = r^2+(\frac{dr}{d\theta})^2 $$
$$ \therefore\;l = \int_{a}^{b} \sqrt{r^2+(\frac{dr}{d\theta})^2}d\theta $$
극좌표계에서 곡선의 넓이
다음으로 곡선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직교좌표계에서는 곡선을 작은 직사각형들로 쪼개 $ a $부터 $ b $까지 곡선의 넓이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넓이를 구했습니다.
$$ S = \int_{a}^{b} f(x)dx $$
극좌표계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곡선을 미소 $ \theta $에 따라 나눠야하므로 부채꼴들로 근사해줄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말이죠.
이때, 부채꼴의 반지름을 $ r $ or $ f(\theta) $, 중심각의 크기를 $ d\theta $라고 하면 부채꼴 하나의 넓이는
$$ \frac{1}{2}(f(\theta))^2d\theta $$
가 되고, 이를 적분하여 $\theta$가 $a$일 때부터 $b$일 때까지의 넓이를 구해주면 다음과 식이 됩니다.
$$ S = \int_{a}^{b} \frac{1}{2}(f(\theta))^2d\theta $$
만약, 두 곡선으로 둘러싸였을 때 $a$일 때부터 $b$일 때까지의 넓이를 구해주면 큰 부분의 넓이에서 작은 부분의 넓이를 빼줘야겠죠. 따라서 이런 식이 나오게 됩니다.
$$ S = \int_{a}^{b} |\frac{1}{2}(f(\theta))^2 - (g(\theta))^2| d\theta $$
이렇게 극좌표에서 곡선의 길이와 넓이를 구해보았습니다.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계 선형미분방정식 (0) | 2024.07.20 |
---|---|
미분방정식 (4) | 2024.07.20 |